본문 바로가기
새로운 정보/새로운것

최고부자 베이조스 우주여행

by 피오하루 2021. 7. 20.
반응형

블루오리진 <사진 : 네이버 이미지>

블루 오리진 뉴 셰퍼드 발사 성공!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자신이 만든 우주개발 회사의 로켓을 

타고 우주관광에 나섰다.

베이조스와 함께 3명의 민간인이 타게 된다.

이 로켓 발사는 인류 역사상 첫 민간 상업 우주여행이다.

2021년 7월 20일 오전 9시(한국시간 밤 10시) 12분 블루 오리진이 만든

로켓 뉴 셰퍼드가 발사에 성공했다.

블루 오리진의 뉴 셰퍼드는 지상 75km 지점에서 캡슐이 로켓에서 분리

되어 100Km 떨어진 카르만 라인(우주의 끝)까지 올라갔다.

약 3분 정도 무중력 공간을 지나고 캡슐이 자유낙하로 다시 지상으로

떨어져 낙하산을 통해 서부 텍사스 사막에 안착했다.

발사된 순간부터 낙하산 착수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11분 정도로

우주 구경 시간은 몇 분 정도이다.

블루오리진 <사진 : 네이버 이미지>

지난 11일 우주관광에 나섰던 리처드 브랜슨 버진그룹 회장이 탑승한

우주선 유니티는 대형 항공기에 실려 이륙한 뒤 엔진을 점화해 상공

86Km 올라갔다. 

블루 오리진은 유니티가 국제항공연맹(FAI)이 우주 경계선으로 정한 

고도 100Km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조종사를 비롯해 버진그룹 직원

들만 로켓에 탑승했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민간 우주관광이 아니

라고 주장한다.

조종사가 없는 뉴 셰퍼드에는 베이조스와 그의 동생 마크 베이조스

1960년대 미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 비행사 시험에 통과했지만

여자라는 이유로 우주인으로 선발되지 못했던 82세의 월리 펑크

18세 물리학과 학생 올리버 대먼이 같이 탔다.

이중 대먼이 블루 오리진의 첫 유료 고객이다.

블루오리진 <사진 : 네이버 이미지>

우주관광 1100조 매출 목표

투자업계는 향후 우주관광이 안전하다는 인식이 생기면 주요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미 증권사 UBS는 우주여행의 안정성이 확보된다면 10년 안에 우주산업

규모가 총 230억 달러(약 26조4000억 원)로 커지고 그중 우주관광은 

연간 30억달러(약 3조 4000억원) 규모가 될 것이라고 한다.

베이조스가 이끄는 블루 오리진은 단순 우주관광을 넘어 일상적으로

달과 소행성을 오가며 자원을 채굴할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여기에 우주관광까지 계획하고 있다.

그의 목표는 2050년까지 1조 달러(약 1100조 원) 이상의 매출을 올릴

우주사업을 모색하는 것이라고 한다.

블루오리진 <사진 : 네이버 이미지>

우주여행 티켓 값

미국 기업들이 주도하는 우주여행 티켓 값이 벌써부터 화재다.

뉴 셰퍼드에 탑승한 대먼은 본래 경매에서 남은 자리 2800만 달러

(약 320억 원)에 낙찰받은 익명의 자산가가 일정상의 이유로 자리를

포기하면서 기회가 주어졌다.

대먼이 얼마를 지불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고 한다.

밥 스미스 블루 오리진 대표는 2019년 인터뷰에서 비용은 1인당 수십만

달러 정도 일 것이라고 언급했다고 한다.

브랜슨 회장의 우주여행 성공으로 자신감이 붙은 버진 갤럭틱은 이미

사전예약을 받아 고객 600여 명을 대상으로 최대 25만 달러(2억 8000만 원)

에 우주여행 티켓을 팔았다.

원래 티켓값은 20만 달러였다.

올해 몇 차례 시험비행을 완료한 후 내년부터 상업용 우주관광을 본격화

한다는  목표이다.

자산운용사 AB번스타인은 버진 갤럭틱이 상업용 우주관광을 시작하면

탑승객 1인당 40만~50만 달러(약 4억 5000만~5억 7000만 원)에 티켓을

판매할 것으로 예상했다.

테슬라의 창업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 X도 민간인들로만 이루

어진 우주여행을 준비 중이다.

인스퍼레이션 4로 불리는 이 프로젝트는 올해 4분기에 미국의 억만장자

재러드 아이 잭먼 등 4명의 민간인 승무원이 유인 우주선 크루 드래건에

탑승해 지구 540Km 상공 궤도에 다녀온다는 내용이다.

크루 드래건은 미국 플로리다 케네디 우주센터 39A발사기지에서 팰컨 9

로켓에 실려 발사될 계획이라고 한다.

 

<출처: 한경닷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