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통신쟁이112

[아파트 전기공사] 박스 찾기 신축 아파트 전기공사 • 》박스찾기 건물을 지을 때 전기선이 움직일 수 있게 만드는 공간이 있습니다. 시작과 끝에 박스를 놓고 박스와 박스를 배관으로 연결을 해서 박스와 박스 사이에 전선을 넣어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등을 달고 전등을 켜고 끌 수 있는 스위치를 달고 콘센트를 설치해 전자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합니다. 건축 공정의 단계가 있어 전선을 넣고 박스 안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게 커버를 닫아 두는데 벽면을 고르게 만들기 위해 시멘트를 바르는 견출이라는 작업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박스가 가려져 보이지 않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위쪽사진 좌측에 흰색처럼 보이는 것이 박스가 있는 자리입니다. 박스위치를 망치로 천천히 두드려 주면 시멘트가 떨어지며 박스 커버가 보입니다. 처음부터 세게 때리면 박스옆 .. 2023. 1. 30.
조적에 매입된 스위치 박스 위치변경 신축아파트 조적부위 스위치박스 위치변경 신축아파트 스위치 박스의 높이가 서로 달라 위치를 변경해 주어야 합니다. 나란히 있는 스위치가 하나는 높고 하나는 낮으면 누가 보더라도 대충 한 느낌이 들기 때문입니다. 사진을 언듯 보면 높이가 비슷하게 보이지만 높이의 차이가5~7mm정도 됩니다. 사진의 좌측은 3로 전등스위치이고 우측은 환기 스위치입니다. 그리고 스위치가 매입되어 있는 벽돌을 쌓아 만든 벽입니다. 미장 전에 정확하게 매입이 되었으면 쉬운 일이지만 미장을 하고 난 후라서 추후에 미장된 면을 맞추기가 조금 힘듭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페인트를 칠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페인트까지 칠해졌다면 마감이 끝났기 때문에 여러 공정이 재작업을 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가장 먼저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2023. 1. 29.
보일러실 전등 철거 천장에 설치된 벽등 제거 작업 아파트 신축현장에서 전등을 전문적으로 설치하시는 분들이 타입별로 전등이 다른데 일괄적으로 동일한 전등을 벽과 천장에 설치하였습니다. 위에 사진이 보일러실에 설치된 벽등인데 천장에 설치가 되어있어 제거를 해야 하는 전등입니다. 전등을 제거하기 위해 전등을 가리고 있는 커버를 먼저 제거해 줍니다. 커버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퇴어 있습니다. 커버채질이 유리로 된 것도 있습니다. 전등 양 옆에 걸쇠가 있어 커버 홈에 맞추어 끼워져 있습니다. 커버한쪽 끝을 손으로 잡고 약간의 힘을 주어 아래로 당기면 전등 커버가 분리됩니다. 위에 있는 사진이 커버를 당겨 제거한 사진입니다. 전등에서 분리한 전등 커버입니다. 커버 하단 부위가 걸쇠에 끼워지는 홈입니다. 플라스틱 커버가 끼워지는 걸쇠의.. 2023. 1. 27.
LED전등 잔광현상 LED 전등 잔광 현상이란? 방안에 누워 잠을 자려고 전등을 껐는데 전등이 희미한 빛 을 내고 있는 현상을 이야기합니다. 불을 껐는데 희미하게 잔불이 남아 있는 현상을 잔광 현상이라고 합니다. 잔광 현상은 전등 스위치나 리모컨, 조광기 등을 사용할 때 전류가 완전하게 차단이 되지 않고 전등으로 흘러들어 가는 증상을 이야기합니다. 잔광 현상이 주는 피해 1. 잔광 현상이 지속될 경우 LED 전등의 수명을 단축시킵니다. 2. 미세하게 흐르는 전류로 인해 전기요금이 낭비됩니다. 3. 희미하게 비추는 빛으로 인해 숙면을 취하기 힘듭니다. 잔광 현상 제거 방법 1. 잔광 제거 콘덴서를 이용한 제거 ​ 잔광제거 콘덴서는 인터넷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고 가격 또한 저렴합니다. 안전도 생각해야 되므로 인증받은 제품을 .. 2022. 9.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