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내망 네트워크 공사를 하다 보니 거리가 멀어 광케이블로 연결을 해야 되는 경우가 있다.
거리가 가까운곳은 UTP 케이블로 연결을 하는데 별관이나, 강당처럼 본관과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전송거리가 긴 광케이블을 사용해서 작업을 한다.
이때 광케이블 접속과 광케이블 성단이라는 용어가 나오는데 처음에는 같은 것인 줄 알고 접속으로만 이야기를 했는데
약간의 차이가 있다. 접속은 접속인데 어떤것을 붙이느냐에 따라 용어에 차이가 생긴다.
광케이블 구성
일단 광케이블의 구성을 보면 이렇게 구성이된다.
광케이블 안에 머리카락의 1/10 정도의 얇은 광섬유가 있으며 그 광섬유 안에 코어라고 하는 유리막이 있는데 이곳을 타고 빛이 이동을 합니다.
코어수에 따라 4 코어, 8 코어, 12 코어, 36 코어 이런 형태로 올라갑니다.
광케이블 내에 코어를 정확히 식별하기 위해 코어의 순서를 정해놓았는데 이것을 코어 선번이라고 합니다.
청색, 등색, 녹색, 적색, 황색, 자색, 갈색, 흑색, 백색, 회색, 연한 청색, 연한 등색 총 12가지 색을 기본으로 1번부터 12번으로 구분됩니다.
케이블 안에 유니트 안에 36 코어 이하 광케이블은 한 개의 유니트당 광코어 케수는 6개씩, 72 코어 이상 광케이블은 하나의 유니트당 12개의 광 코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광코어가 많아질수록 유니트의 수도 늘어남에 따라 유니트 역시 색으로 식별할 수 있게 12가지 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광케이블 접속
광케이블 접속은 정확히 말하면 광섬유와 광섬유의 연결이라고 보면 됩니다.
광케이블이 끊겨 다시 연결해야 될 때 광섬유 안에 있는 모든 광섬유를 연결을 해주어야 합니다.
광케이블은 전기선처럼 꼬아서 연결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광케이블 접속기가 따로 있습니다.
이장비를 가지고 광섬유와 광섬유를 연결해주는 것을 광 접속이라고 합니다.
끊어진 광케이블과 광케이블이 서로 연결되었을 때 광케이블을 접속했다고 합니다.
광케이블 성단
광케이블 성단도 광케이블 접속과 같습니다. 단지 차이가 있다고 하면 광케이블 끝단에 장비에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연결해주는 작업이라고 보면 됩니다.
장비도 똑같은 접속기를 사용해서 연결을 하는데 다만 다른 것은 피그 테일이라는 커넥터가 달린 것을 접속해주는 겁니다.
커넥터가 달린 부분은 광 장비에 연결되는 부분이고 뒤쪽에 케이블만 있는 곳은 광케이블과 연결되는 곳입니다.
정리해보면
광케이블 접속 : 광케이블과 광케이블 연결
광케이블 성단 : 광케이블과 피그 테일 연결
'통신쟁이 > 전기ㆍ통신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0) | 2021.06.19 |
---|---|
전구 색상 (전구색, 주백색, 주광색) (0) | 2021.06.15 |
[전기공사] 전등의 종류 (0) | 2021.06.05 |
[전기 공사] 접지공사 종류 (0) | 2021.06.04 |
[전기공사] 전기선 종류 (0) | 2021.06.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