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로운 정보/궁금한것

낮과밤의 시간이 같아지는 추분

by 피오하루 2022. 9. 23.
반응형

24절기 <출처 :다음 이미지>

추분(秋分)

24절기 중 16번째 절기인 추분은 가을추 秋 에 나눌 분 分 자를 써서 "가을을 나눈다."

라는 뜻을가지고있습니다.

즉, 여름과 겨울을 나눈다는 뜻이 담겨있습니다.

추분은 백로(白露)와 한로(寒露) 사이에 있는 24절기 중 하나로 양력 9월 23일

무렵으로, 음력으로는 대개 8월에 들어있습니다.

추분점

추분점은 황도와 적도의 교차점 안에 태양이 적도의 북쪽에서 남쪽으로 향해 

가로지르는 점을 말합니다.

이것은 태양이 북쪽으로부터 남쪽으로 향하여 적도를 통과하는 점으로 적경(赤經),

황경(黃經)이 모두 180도가 되고 적위(赤緯)와 황위(黃緯)가 모두 0도가 됩니다.
그래서 추분에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므로 이날을 계절의 분기점으로 의식하는 것입니다.

 

추분<출처:다음 이미지 >

 

추분 이후 변화

 추분이 지나면 점차 밤이 길어지기 때문에 여름이 가고 가을이 왔음을 실감하게 됩니다.

추분과 비슷한 절기가 하나 더 있는데 그것이  춘분입니다.

추분과 춘분은 모두 밤낮의 길이가 같은 시기지만 기온을 비교해보면 추분이 약 10도 정도 기온이 높습니다.

이것은 아직 여름의 열기가 잔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추분에는 벼락이 사라지고 벌레는 땅속으로 숨고 물이 마르기 시작합니다.

또 태풍이 부는 때이기도 합니다.

 

추분 가을걷이 <출처: 다음 이미지>

추분 즈음하여 논과 밭의 곡식을 거두어들이기 시작합니다.

목화를 따고 고추도 따서 말리며 그 밖에도 잡다한 가을걷이 일들이 이어집니다.

호박고지, 박고지, 깻잎, 고구마순도 이맘때 거두고 산채를 말려 겨울에 먹을

묵나물을 준비합니다.

 

추분에 행해지는 풍습

추분에는 국가에서 수명장수를 기원하는 노인성제(老人星祭)를 지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 때부터 시행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소사(小祀)로 사전(祀典)에 등재되었습니다.
추분에 부는 바람을 보고 이듬해 농사를 점치는 풍속이 있습니다.

추분에 건조한 바람이 불면 다음 해 대풍이 든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만약 추분이 사일(社日) 앞에 있으면 쌀이 귀하고 뒤에 있으면 풍년이 든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사일의 '사'자는 땅귀신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봄에는 춘사 일이라 해서 부지런히 일하 자고 하고 가을에는 추사 일이라고 하여 풍성하게 된 것을 기뻐하고자 지신과 농신에게 제사를 지냈다고 합니다.

또 추분에 작은 비가 내리면 길하고 날이 개면 흉년이라고 믿습니다.

반응형

댓글